육아서적

임신출산 준비 책 추천 : 산부인과 의사에게 속지 않는 25가지 방법 - 에밀리 오스터

책 고래 2024. 9. 18. 19:48
반응형

<산부인과 의사에게 속지 않는 25가지 방법> 

 

 

임신 준비부터 임신 과정 중, 출산까지의 과정 중 임산부가 가질 수 있는 의문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여러가지 데이터를 제시하여 매우 유익하다. 내 경우 이제 임신 후기에 접어들면서 임신보다 육아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기 때문에 임신 관련 책은 이 책을 마지막으로 이제 졸업해야겠다. 

 


 

 

임신 중 운동

1) 케겔 운동

  • 요실금 예방에 효과
  • 출산 시 힘주기 시간이 조금 짧음 

2) 임신 중 일반적 운동은 괜찮다. 운동하지 않아도 괜찮다. 지금 하는 운동이 편안하게 느껴진다면 계속 해도 좋다. 

 

침상안정이 조산을 예방하는 근거는 없다.

오히려 뼈 손실, 근육 위축, 체중 감소 등 실질적 의학적 위험이 있다. 

 

 

유도분만 방법

  1. 합성 옥시토신 제제 사용 : 자궁경부가 저절로 부드러워지고 확장되었을 경우 
  2. 프로스타글란딘 성분의 약물이나 풍선 카테터 기구 사용 + 옥시톤 : 자궁경부가 저절로 준비되지 않으면 

 

단점) 출산통이 커질 수 있다. 제왕절개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출산의 세 단계

제1기 : 자궁문이 확장하는 단계

  1. 잠복기 : ~3센치. 며칠~몇주간 지속, 알아차리지 못하기도 함. 시간을 신경 쓸 필요가 없음. 
  2. 활성기 : 3~7센치.
  3. 이행기 : 7~10센치 -> 가장 힘든 시기. 자궁수축은 2분마다 한 번씩 90초간 지속. 90분 정도 소요

제2기 : 힘주기

몇분~몇시간동안 이어질 수 있음. 편차가 크다. 아기가 나오면 끝난다. 

 

제3기 : 태반 배출

 

 

무통분만 = 경막 외 마취법

 

자궁 부위를 비롯한 하반신을 마비시키는 것. 

자궁 수축을 전혀 느끼지 않으며 힘줄 때의 진통도 줄거나 사라진다. 

출산 제1기에 시행됨. 힘주기 동안에는 마취를 중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하반신이 완전히 마비되면 힘주기가 힘들어지기 때문. 

등에 바늘을 꽂아 척추를 둘러싼 막 속으로 밀어 넣은 뒤에 카테터를 연결해 마취제를 공급. 마취 과정 자체가 아플 수 있지만 국소 마취제를 먼저 투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여성은 그 뒤에 어떤 진통도 느끼지 않는다.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 

  • 긍정적 : 없다
  • 부정적 : 불필요한 항생제를 사용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 차이 없음 : 아프가 점수, 태아 절박가사, 태변, 신생아 집중 치료 시간

 

엄마에게 미치는 영향 

1) 긍정적

  • 출산통 완화 효과가 뛰어남.
  • 필요한 휴식을 취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출산 중에 몇 시간 동안 눈을 붙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힘든 단계인 힘주기를 조금이나마 대비할 수 있다.

2) 부정적 

  • 출산 중 집게나 흡착기를 쓰는 일이 많아짐. (아기에게 안전) 
  • 출산 시간이 약간 길어짐. 
  • 경막 외 마취를 하지 않으면 출산 중에 돌아다니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아기가 올바른 자세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이론. 
  • 옥시토신을 투여하는 경우가 많아짐. 자궁 수축이 느려지기 때문에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 엄마의 혈압이 높아지거나 요도 삽관의 확률도 높아짐. 
  • 경질막 천자 후 두통 (마취 시 척수액을 건드릴 확률) 

3) 차이 없음 : 전체 제왕절개율, 모유 수유 성공율, 출산 제1시에 걸리는 시간, 임신 중 구토, 만성 두통 

 

 

 

출산 계획을 세워라

  • 양수가 터지고 열두시간 안에는 유도분만을 해야됨. (모체 감염률 높아짐)
  • 출산 중 음식 섭취 : 위 흡인 가능성 (매우 낮지만) 있어서 주스나 스포츠 음료 추천
  • 출산 도우미
  • 지속 태아 모니터링 : 효과가 있다는 근거는 없다. 
  • 출산 촉진 : 양막을 터뜨리거나 옥시토신을 투약하면 출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 회음부 절개 : 좋은 생각이 아니다
  • 출산 후 옥시토신 투여 : 출산 후 출혈 예방에 도움. 
반응형